<깊은 밤의 파수꾼>전시서문 _ 엄윤선 스페이스 엄 대표 명조-종호 두 작가는 신화와 전설, 동화를 연상시키는 테마로 서로를 연결합니다. 레고 블록 같은 둥글고 귀여운 캐릭터들이 창과 폭탄으로 무장한 기사와 무시무시한 용을 상대로 전투를 벌이는 종호의 작품과, 음악의 선율이 나비와 고라니, 혹은 아예 악보의 형태로 가시화되어 우거진 숲속 나무사이를 유영하는 명조의 작품은 서로 다른 스타일로 유럽의 분위기를 드러냅니다. 물론 이 유럽의 맛을 일부러 의도한 건 아닙니다. 독실한 카톨릭 신자인 두 사람이 신혼여행으로 이태리와 바티칸(로마 시내에 있으나 바티칸은 엄연한 ‘독립국가’입니다!)을 다녀왔으니 그 지역의 풍성하고 충만한 르네상스 예술로부터 영감을 받았겠지요. 종호작가의 작품을 한마디로 정의하면 “동심童心을 지키기 위한 치열한 전투”입니다. 어린 아이가 가지고 있는 마음 – 순진무구하고 투명해서 말랑말랑했던 본질을 삐에로와 귀여운 동물친구들로 묘사해, 악마와 용으로 대변한 ‘동심을 퇴색시키는 것’과의 전쟁을 펼치며 동심을 수호합니다. 인간의 타고난 성품은 선하나 살아가면서 환경에 의해 악해진다는 성선설의 관점에 빗대본다면 동심은 선한 인간의 본성이고 그것의 변질은 악으로 인함이란 의미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결국 종호의 작품은 악으로부터 선을 지키기 위한 웅장한 대서사입니다. 귀여운 캐릭터들이 선악간의 싸움의 장엄함과 잔혹성을 순화시키고 있으나 그 본질의 숭고함을 암시하는 트릭으로 작가는 중세 종교화의 테페라의 장식기법을 사용했습니다. 명조작가의 작품은 그야말로 “음악의 시각화”입니다. 작품들에 영감을 준 음악의 악보가 화면에 흘러갑니다. 더러 나비와 고라니가 선율이 흐르듯 숲 속을 움직입니다. 이 고라니는 작가가 제주도 산행에서 우연찮게 발견한 잠자는 고라니에서 비롯합니다. 평화롭게 곤히 잠든 모습이 마치 산의 주인처럼 편안해 보였고 산행인들이 되려 그의 영역을 침범한 이방인처럼 느껴졌습니다. 대자연이 품은 고라니는 힘있고 우아했지요. 그때부터 고라니는 명조의 세계에서 음악의 리듬과 멜로디를 움직임으로 보여주는 역할을 맡게 됐습니다. 프랑스의 철학가 시몬느 베이유는 자신의 저서 “중력과 은총”에서 정신적 상승과 퇴학의 산물인 고상함과 저급함을 에너지 개념으로 바꿔 정의했는데 신의 은혜로 영감을 받은 예술은 땅으로 끌어내리는 중력, 그 저급한 힘에 영향을 받지 않고 천상으로 향한다고 말합니다. 이런 예술은 밝고 행복하며 분명합니다. 불길하거나 난해하지 않고 자의적으로 불쾌감을 유발하는 게 아닌 가공되지 않은 자유와 사랑에서 오는 힘이 분명합니다. (* 시몬느 베이유의 중력과 은총_심상용 서울대학교 미술관 관장) 명조가 보여주는 음악은 환하게 빛을 발하며 중력을 거슬러 어둠 속을 유유히 흐릅니다. 이 우아한 빛의 흐름으로 인해 숲의 어둠은 물러나고 평안한 에너지가 관객에게까지 전달됩니다. <깊은 밤의 파수꾼>은 ‘밤’과 ‘어둠’으로 대변하는 악함과 두려움의 대상으로부터 우리를 지키는 빛의 선한 존재를 보여줍니다. 여기에 이르니 이 젊은 부부의 작업이 모두 그들의 신앙을 기초로 세워졌음이 명확해지네요. 선과 악, 예술의 도덕성, 표현의 자유의 범위, 그 모든 경계가 모호해진 현대 사회에서 이들이 규정과 정의(定義)가 엄격한 중세의 고전성을 따라가는 건 시대의 역행이 아닌, 오히려 말하고자 하는 바에 설득력을 더합니다. 인간은 동심, 선한 성품을 지키기 위해 끈임없이 악과 대항한다, 그리고 은총에서 비롯한 영감을 받은 예술은 우리에게 치유와 회복을 선사한다고 말입니다.